주요뉴스
최종편집2024-06-16 12:05 (일) 기사제보 광고문의
빙판 낙상, 여자 많고 타박상·염좌 77%
상태바
빙판 낙상, 여자 많고 타박상·염좌 77%
  • 윤세권 기자
  • 승인 2013.02.05 1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빙판길 안전한 보행 요령 안내

 

▲ 올 겨울 많은 눈이 내려 지난해 12월에만 서울에서 빙판 낙상으로 119구급대에 이송된 환자가 1843명에 이르며, 이중 148명이 골절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서울에서 빙판 낙상으로 119구급대에 이송된 환자가 무려 1843명에 이르며, 이중 148명이 골절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5일 눈이 쌓여 첫 빙판 낙상환자가 발생한 날부터 매일 68명이 119구급대에 이송되고, 5.5명이 골절상을 입은 셈이다. 이는 2011년 같은 기간 89명과 비교하면 20배 이상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2012년 12월 폭설과 한파 속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빙판 낙상환자의 성별·연령별·신체 부상별·자치구별 분석 자료를 내놨다.

환자의 성비 구성을 살펴보면 여자가 1050명(57.0%)으로 남자 793명(43.0%)보다 1.3배 발생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409명(22.2%)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60대 401명(21.8%), 70대 380명(20.6%), 40대 214명(11.6%), 80대 144명(7.8%)순. 50대 이상이 전체 72.4%를 차지했다.

부상부위별로는 머리가 363명(19.7%)으로 가장 많았으며, 발목 285명(15.5%), 허리 223명(12.1%), 손목 190명(10.3%), 엉덩이 173명(9.4%), 얼굴 139명(7.5%) 순이었다. 머리와 얼굴(치아 포함)이 518명으로 전체 28.1%를 차지했다.

부상 정도별로는 타박상과 염좌(접질림)가 1412명(76.6%)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열상 225명(12.2%), 골절상 148명(8.0%), 찰과상 49명(2.7%), 탈골 9명(0.5%) 순이었다.

성별 부상 부위 특징을 살펴보면 여자가 남자에 비해 손목 부상이 4.6배, 팔이 2.7배, 허리 2.0배 많았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부상이 높은 부위는 옆구리 2.6배, 얼굴 2.1배 순이었다.

50세 기준 연령별 부상 부위 특징을 보면 50세 이상이 50세 미만보다 고관절 부상이 무려 16.8배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손목이 7.3배, 엉덩이 4.6배, 머리 3.4배, 팔 3.3배 순이었다.

옆구리·치아는 각각 1.0배, 발목은 1.1배로 50세 이상과 미만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50세 이상이 50세 미만보다 평균 2.6배 부상이 많은 점을 감안하면 젊은 층에게 취약한 부상 부위로 분석됐다.

골절상은 여자가 99명(66.9%)으로 남자 49명(33.1%)보다 2배 높았으며, 골절부위는 손목이 48명(32.4%), 발목 28명(18.9%), 다리 27명(18.2%) 순으로, 손목과 발목이 76명으로 전체 51.4%를 차지했다.

특히 손목 골절상 48명 중 44명(91.7%)이 50대 이상에서 발생했으며, 여자가 46명(95.8%)을 차지해 50대 이상 여자가 손목 골절상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8~11시 395명(21.4%)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자치구별로는 관악구(130명), 송파구(126명), 강남구(107명) 순이었다. 관악구가 가장 적게 발생한 도봉구(38명)보다 3.4배 많았다.

한편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빙판길 안전한 보행 요령으로 △평소보다 보폭을 줄이고 천천히 걷는다 △결빙된 비탈길을 지날 때는 자세를 최대한 낮추고 걷는다 △주머니에 손을 넣지 말고 장갑을 착용한다 △노약자 및 임산부는 가급적 외출을 자제한다 △굽이 낮고, 눈길에 미끄럽지 않은 신발을 신는다 △부상을 당하면 함부로 움직이지 말고 119에 도움을 청할 것을 당부했다.

 


주요기사